An Inquiry into the Relation between the Formation of Statements in the Zhouyi (周易) and the Divination Method

본 논문은 『주역(周易)』 그 자체 즉 『주역(周易)』 고경의 형성과정과 서법(筮法)의 상관관계를 고찰하는 것이 목적이다. 필자는 이를 위해 춘추시대, 전국시대, 경학시대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첫째, 춘추시대에는 현재 통용되는 효제(爻題)가 쓰이지 않았고, ‘모괘지모괘(某卦之某卦)’라는 형식의 효제(爻題)가 쓰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모괘지모괘(某卦之某卦)’의 형태는 효사를 형성하는 가장 근원적인 원인이 되었을 것으로 판단되고, 이러한 ‘모괘지모괘(某卦之某卦)’의 형태에 기반하여 효사가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둘째, 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Main Author: Im, Jaekyu (Author)
Format: Electronic Article
Language:Korean
Check availability: HBZ Gateway
Fernleihe:Fernleihe für die Fachinformationsdienste
Published: Han gog jong gyo hag hoe 2018
In: Chongkyo yŏnku
Year: 2018, Volume: 78, Issue: 2, Pages: 59-85
Further subjects:B 효변
B Statements in the Zhouyi
B Divination Method
B 역사(易詞)
B Zhouyi(周易)
B 『주역(周易)』
B Line changes
B 효제
B The names of lines
B 서법(筮法)
Online Access: Volltext (lizenzpflichtig)
Volltext (lizenzpflichtig)
Description
Summary:본 논문은 『주역(周易)』 그 자체 즉 『주역(周易)』 고경의 형성과정과 서법(筮法)의 상관관계를 고찰하는 것이 목적이다. 필자는 이를 위해 춘추시대, 전국시대, 경학시대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첫째, 춘추시대에는 현재 통용되는 효제(爻題)가 쓰이지 않았고, ‘모괘지모괘(某卦之某卦)’라는 형식의 효제(爻題)가 쓰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모괘지모괘(某卦之某卦)’의 형태는 효사를 형성하는 가장 근원적인 원인이 되었을 것으로 판단되고, 이러한 ‘모괘지모괘(某卦之某卦)’의 형태에 기반하여 효사가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둘째, 전국시대 현재 통용되는 양효와 음효의 등장과 현재 통용되는 효제(爻題)의 등장은 『주역(周易)』 괘효사의 해석에 매우 중대한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생각된다. 사실 서주 초기 『주역(周易)』 괘효사가 형성될 때 64괘의 형태는 숫자괘의 형태로 추정된다. 반면에 전국시대에 들어오면서 현재 통용되는 양효와 음효의 등장과 현재 통용되는 효제(爻題)의 등장으로 인해 전국시대의 64괘의 형태는 서주 초기 64괘의 형태와 상당한 정도로 변화되었다. 왕필은 『주역(周易)』 해석에 있어서 서법(筮法)의 영향을 제거하였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효제(爻題)의 등장으로 인한 효의 위치와 효의 음양을 『주역(周易)』 해석의 중요한 요소로 삼기 시작했다. 셋째, 경학시대를 대표하는 주자의 서법에 관한 이해는 『주역본의(周易本義)』의 「서의(筮儀)」와 『역학계몽(易學啓蒙)』의 「명시책(明蓍策)」과 「고변점(考變占)」에 나와 있다. 필자의 판단에 의하면 주자는 이러한 서법과 『주역(周易)』 역사(易詞)의 형성이 서로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보는 것 같다. 즉 주자는 『주역(周易)』의 괘효사는 지괘(之卦)와 관련없이 본괘(本卦)에 대한 관찰에 의해서 형성되었다고 본다. 이는 기본적으로 왕필의 인식과 맥락을 같이한다고 볼 수 있다. 넷째, 조선후기의 대표적인 학자인 다산의 서법에 대한 이해는 『주역사전(周易四箋)』의 「시괘전(蓍卦傳)」에 잘 나와 있다. 이는 다산이 주자의 서법을 받아들이지 않고 독창적인 서법을 창안한 것으로 그 핵심은 하나의 효만 변한다는 ‘일효변(一爻變)’에 있다. 다산에 의하면 주공이 이 ‘일효변(一爻變)’에 의한 변괘에 기반하여 효사를 지었다고 본다. 따라서 다산에 있어서 서법과 『주역(周易)』 역사(易詞) 형성은 서로 분리할 수 없는 관계가 된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필자는 서법(筮法)과 『주역(周易)』 역사(易詞) 형성의 상관관계에 대해 대략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즉, 『주역(周易)』역사(易詞)의 형성과 서법은 일정한 상관성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춘추시대의 효제가 ‘모괘지모괘(某卦之某卦)’의 형태라는 추정이 가능하다면 『주역(周易)』 역사(易詞)의 형성과 서법은 불가분의 관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는 점이다. 물론 전국시대에 이르러 현재 통용되는 효제의 등장으로 인해 『주역(周易)』 역사(易詞)의 해석에 있어서 서법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줄어들었다고 판단된다. 왕필과 주자의 역학이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This paper inquiries into relations between the formation of the main text of the Zhouyi(周易) and divination methods. How the main text of the Zhouyi and statements of the hexagrams and lines were formed is a crucial question. First. we conjecture that in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the current names of the lines were not used and instead the form of "such and such a hexagram of such and such a hexagram" was likely used. Thus. we can conjecture the form of "such and such a hexagram of such and such a hexagram" appeared prior to the statements of lines in the Zhouyi. I conclude that the form of "such and such a hexagram of such and such a hexagram" was the basis of formation of the statements of the lines. Second. while the names of lines in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took the form of "such and such a hexagram of such and such a hexagram." the current formula of names of lines—like the first. the second. the third. the fourth. The fifth and the Nine on the top—appeared in the Warring States period. The emergence of the current form of naming lines was a critical event in the history of Zhouyi studies because the emergence names of lines is novel ground for interpreting the Zhouyi. Wang Bi rejected the divination method in interpreting the Zhouyi and considered the place of lines and the yin/yang line as crucial to its interpretation. Third. Zhu Xi’s understanding of the divination method appeared in the the shiyi 筮儀 of the Zhouyi benyi and in the mingshice 明蓍策 and the Gaobianzhan 考變占 of the Yixue qimeng. Zhu Xi’s divination method has been understood as the same as that of the Spring and Autumn and Warring States periods. What then is Zhu Xi’s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 between the divination method and the formation of statements? In my view. Zhu Xi sees no relations between them. For Zhu Xi. the statements of the hexagrams and lines were formulated in observation of the hexagrams without zhigua. In this regard. he agrees with Wang Bi. Fourth. Dasan’s understanding of the divination method appears in the sigwejeon 蓍卦傳 of the Juyok sajeon. Rejecting Zhu Xi’s method. Dasan created an original method in which the most important idea is ilhyobyeon 一爻變. that only single line changes appeared. According to Dasan. the Duke of the Zhou created statements of the lines based on biangua using ilhyobyeon. For Dasan. the divination method is intertwined with the formation of statements in the Zhouyi. Regarding the relations between the divination method and the formation of statements in the Zhouyi. I conclude as follows. Plausible relations existed between them. If we can conjecture the names of the lines in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took the form. "such and such a hexagram of such and such a hexagram." there should be a necessary relation between them. With the emergence of the current system of naming lines in the Warring States period. the impact of the divination method upon the interpretation of the statements declined. We can understand Wang Bi and Zhu Xi’s understanding of the Zhouyi in this context.
Contains:Enthalten in: Chongkyo yŏnku
Persistent identifiers:DOI: 10.21457/kars.2018.78.2.08.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