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on the caste system, income and social capital in Modern Nepal: In the case of Tikapur

본 연구는 청소년 종교활동의 조절효과에 초점을 두어 청소년이 지각하는 부모의 방임 및 학대가 자아정체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초4패널 제7차년도에 참여한 고등학교 1학년 1979명을 대상으로 부모의 방임 및 학대, 종교활동, 자아정체감을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은 상관관계분석과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으로 이루어졌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방임과 학대는 자아정체감과 부적(-)상관을 가지고, 종교활동은 자아정체감과 정적(+)상관을 나타내었다. 둘째, 부모의 높...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Main Author: Kim, Jangsaeng (Author)
Format: Electronic Article
Language:Korean
Check availability: HBZ Gateway
Fernleihe:Fernleihe für die Fachinformationsdienste
Published: Han gog jong gyo hag hoe 2019
In: Chongkyo yŏnku
Year: 2019, Volume: 79, Issue: 1, Pages: 161-188
Further subjects:B 사회적 자본
B Social Capital
B 힌두교
B 네팔
B Income
B 소득
B Hinduism
B Caste
B 카스트 제도
B Nepal
Online Access: Volltext (lizenzpflichtig)
Volltext (lizenzpflichtig)
Description
Summary:본 연구는 청소년 종교활동의 조절효과에 초점을 두어 청소년이 지각하는 부모의 방임 및 학대가 자아정체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초4패널 제7차년도에 참여한 고등학교 1학년 1979명을 대상으로 부모의 방임 및 학대, 종교활동, 자아정체감을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은 상관관계분석과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으로 이루어졌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방임과 학대는 자아정체감과 부적(-)상관을 가지고, 종교활동은 자아정체감과 정적(+)상관을 나타내었다. 둘째, 부모의 높은 방임과 학대를 경험할수록 자아정체감은 낮았으며, 종교활동을 할수록 자아정체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절효과 검증 결과 종교활동은 청소년의 자아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방임과 학대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단순기울기 검증결과, 학대의 경험보다 방임의 경험이 많을수록 자아정체감이 더 낮아지고, 방임의 경험이 적을수록 자아정체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방임과 학대의 부정적 양육환경의 청소년에게 종교활동이 자아를 이해하고, 청소년의 자아정체감을 형성하는 데 기여함과 종교활동의 영향력을 검증하는 데 실증적 자료를 제공함에 의의가 있다. 카스트 제도는 베다와 마누 법전에 뿌리를 두고 있는 힌두교 사회신분제도로서 네팔 주민들의 경제 및 사회적 활동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지금까지 네팔의 카스트 제도와 관련된 연구는 많이 이루어 졌으나, 농업 소득 및 사회적 자본과 카스트 제도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거의 발표되지 않았다. 본 논문의 목적은 현대 네팔의 카스트 제도가 주민들의 소득 및 사회적 자본과 어떠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논문은 첫째, 네팔 카스트 제도의 현황 및 특징을 알아보았고 둘째, 주제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았으며 마지막으로 티카플에서 수집한 데이터분석을 통하여 카스트와 소득 및 사회적 자본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하위 카스트 일수록 농민이 많고 농업 소득은 타직종에 비하여 낮음으로 결국 하위 카스트일수록 소득이 적었다. 둘째, 카스트 제도는 주민 간 협동과 협력 그리고 신뢰에 음으로 영향을 미쳤다. 상위 카스트로부터의 부당한 대우가 하위 카스트의 내적 응집력을 높여 집단내의 상호 협동과 협력이 강화된 것으로 해석된다. 셋째, 카스트 제도는 지역사회의 정체성과 가치 공유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카스트 내 응집력이 카스트간 응집력으로는 발전되지 못하였던 것이다. 마지막으로 힌두교 신앙심은 사회적 관계 보다는 개인의 내적 종교심과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아직 까지 선행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카스트 제도와 사회적 자본의 상관관계를 실증연구를 통하여 분석하고 또한 주로 임금 노동이 주를 이루는 카스트와 소득의 상관관계의 연구 지평을 농업소득까지 확장함으로서 네팔 주민들에게 미치는 힌두교 카스트 제도의 영향을 더욱 정교화 할 수 있었다는 데서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the caste system in Nepal correlates with the income and the social capital. This paper analyses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aste system in Nepal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aste system and inco me and social capital in Tikapur, Nepal.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lower caste has the higher proportion of farmers. Agricultural income is lower than other occupations, so the lower caste has the lower income. Second, the caste system strengthens social cooperation and trust within the lower group. Unfair treatment and oppression from the higher castes strengthens the co-operation and cohesion within the lower castes. Third, the caste system does not affect community identity and value sharing. The inter cooperation among castes is weakened due to the exclusive attitude to other castes. Finally, the faith is manifested not through social relations, but through the inner religiosity of the individuals. This study contributes to fi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aste and income and also extends the scope of the research on income and the caste to the agricultural sector.
Contains:Enthalten in: Chongkyo yŏnku
Persistent identifiers:DOI: 10.21457/kars.2019.04.79.1.1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