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hilosophical Critique of the Cosmological Argument by David Hume and Immanuel Kant & A Religious Meaning of Aquinas’ Cosmological Argument

철학자 데이비드 흄(David Hume)은 인과관계 자체가 사물의 실제 질서에 관한 판단이 아니라 마음의 임의적인 활동이므로, 우주를 전체로 파악하고 그 궁극적 원인을 밝히는 우주론적 증명은 이성적으로 불가능하다고 주장한다. 흄의 입장에서 우주론적 증명은 경험적 관찰로 도출하는 것이 불가능한 우주의 질서와 원인을 암묵적으로 전제하고 이를 경험적 관찰과 연결하는 순환론에 불과하다. 임마누엘 칸트(Immanuel Kant)는 개념과 존재를 절대적으로 구분하는 자신의 철학 체계를 바탕으로, 우주론적 신존재 증명이 전제하고 있는 신의 관념...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Main Author: Kim, Youngwon (Author)
Format: Electronic Article
Language:Korean
Check availability: HBZ Gateway
Fernleihe:Fernleihe für die Fachinformationsdienste
Published: Han gog jong gyo hag hoe 2019
In: Chongkyo yŏnku
Year: 2019, Volume: 79, Issue: 1, Pages: 109-132
Further subjects:B 존재
B David Hume
B 데이비드 흄
B 토마스 아퀴나스
B Thomas Aquinas
B Cosmological Argument
B Immanuel Kant
B 우주론적 증명
B 임마누엘 칸트
B Being
Online Access: Volltext (lizenzpflichtig)
Volltext (lizenzpflichtig)
Description
Summary:철학자 데이비드 흄(David Hume)은 인과관계 자체가 사물의 실제 질서에 관한 판단이 아니라 마음의 임의적인 활동이므로, 우주를 전체로 파악하고 그 궁극적 원인을 밝히는 우주론적 증명은 이성적으로 불가능하다고 주장한다. 흄의 입장에서 우주론적 증명은 경험적 관찰로 도출하는 것이 불가능한 우주의 질서와 원인을 암묵적으로 전제하고 이를 경험적 관찰과 연결하는 순환론에 불과하다. 임마누엘 칸트(Immanuel Kant)는 개념과 존재를 절대적으로 구분하는 자신의 철학 체계를 바탕으로, 우주론적 신존재 증명이 전제하고 있는 신의 관념은 인간의 이성이 판단할 수 있는 실재가 아니라 순수이성의 이상(ideal)에 불과하다고 비판한다. 이러한 우주론적 신존재 증명의 일반적 형태에 대한 비판을 바탕으로 토마스 아퀴나스(Thomas Aquinas)의 우주론적 신존재 증명을 분석해 보았을 때, 아퀴나스의 증명은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과 기독교적인 창조교리를 바탕으로 한 자체필연유(ens necessarium per se)를 전제로 가지는 순환논증의 형태를 띠고 있음이 드러난다. 따라서, 흄과 칸트의 비판은 아퀴나스에게 유효하다. 그러나, 기독교적 창조교리를 바탕으로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을 창조적으로 전유한 아퀴나스의 우주론적 신존재 증명 방식은 13세기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의 수용과정에서 이성과 종교적 고백 사이의 이분법을 극복하고 둘 사이의 생산적인 대화를 가능하게 했다는 점에서 종교사적으로 큰 의미가 있다. 따라서 아퀴나스의 우주론적 신존재 증명에서 드러난 순환은 악순환이 아니라 신앙과 이성 사이의 생산적인 대화를 일으킨 선순환이라고 볼 수 있으며, 이러한 점에서 아퀴나스가 아리스토텔레스를 창조적으로 전유한 방식은 오늘날 종교 언어가 지향해야 할 형태의 사유 중 하나이다.
David Hume argued for the impossibility of the cosmological argument since the relation of cause and effect is not the real order of things but the product of an arbitrary act of mind. From Hume`s perspective, the cosmological argument fell into the fallacy of circular argument between the universe and God as the absolute cause of it. Immanuel Kant criticized that the concept of God in the cosmological argument is the ideal of pure reason since a concept is absolutely distinct from its being within his philosophy. If we apply these philosophical critiques to Aquinas’ cosmological argument, it is also turned out to be a circular argument based on the metaphysical system of Aristotle and on the Christian doctrine of creation. However, Aquinas’ argument does not make a vicious circle but a productive one, in the sense that his appreciation of Aristotelian metaphysics overcame the conflict between the philosophical discourse and the religious confession of the 13th century, through providing a new religious language. Thus, Aquinas’ argument gives us a model of the religious language which we need to consider seriously.
Contains:Enthalten in: Chongkyo yŏnku
Persistent identifiers:DOI: 10.21457/kars.2019.04.79.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