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trospection on the Status and Role of Religions in the Period of Divis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이 논문은 남북 분단 이후 북한에서의 종교 이해와 현실 및 종교의 위상을 분석하고 향후 ‘평화시대’ 남북관계 개선을 위해 종교가 할 수 있는 역할을 모색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쓴 것이다. 남북 분단 이후 1970년대까지 북한에서는 종교에 대한 사회주의적인 부정적 이해와 6.25 전쟁을 통한 극도의 반종교적 정서가 지배적이었다. 주체사상이 북한의 유일 지도 이념으로 등장한 이후 1980년대부터는 주체사상에서의 종교에 대한 제한적 긍정을 통해 부분적으로나마 종교시설을 복구하거나 재건했고, 종교단체들의 활동도 재개되었으며, 그 결과가 그...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Chongkyo yŏnku
Main Author: Ryu, Sungmin (Author)
Format: Electronic Article
Language:Korean
Check availability: HBZ Gateway
Fernleihe:Fernleihe für die Fachinformationsdienste
Published: Han gog jong gyo hag hoe 2019
In: Chongkyo yŏnku
Year: 2019, Volume: 79, Issue: 2, Pages: 9-40
Further subjects:B The reality and status of religions in North Korea
B Juche ideology
B 북한 특유의 사회주의체제 종교
B the period of division
B 북한의 종교현실과 위상
B 북한종교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
B 분단시대
B 주체사상
B North Korea’s unique socialist system religion
B a new paradigm of the study of North Korea’s religions
B peace period
B 평화시대
Online Access: Volltext (lizenzpflichtig)
Volltext (lizenzpflichtig)
Description
Summary:이 논문은 남북 분단 이후 북한에서의 종교 이해와 현실 및 종교의 위상을 분석하고 향후 ‘평화시대’ 남북관계 개선을 위해 종교가 할 수 있는 역할을 모색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쓴 것이다. 남북 분단 이후 1970년대까지 북한에서는 종교에 대한 사회주의적인 부정적 이해와 6.25 전쟁을 통한 극도의 반종교적 정서가 지배적이었다. 주체사상이 북한의 유일 지도 이념으로 등장한 이후 1980년대부터는 주체사상에서의 종교에 대한 제한적 긍정을 통해 부분적으로나마 종교시설을 복구하거나 재건했고, 종교단체들의 활동도 재개되었으며, 그 결과가 그 이후의 북한 종교 현실로 나타났다. 북한의 종교현실이 종교 교당의 수나 신도 수혹은 성직자 수 등에서는 남한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미미한 수준이고, 북한 주민들은 대체로 종교에 대해 관심이 없거나 무지할 뿐만 아니라 여전히 적대적인 태도도 다분하다. 그런데 북한 종교단체의 장들은 대부분 북한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을 역임했고, 남북통일 관련 대남 혹은 대외 활동에 주력하는 북한의 사회단체나 국가기구에서 고위직으로 활동하는 등 비교적 높은 정치적 위상을 지녀왔다. 이는 북한의 종교현실을 통계적인 수치로만 이해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고, 동시에 북한의 종교에서 ‘순수한’ 종교활동은 불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점을 고려한다면, 그리고 향후 남북관계가 ‘평화 시대’로 나갈 수 있다면, 남한 종교계는 북한의 종교가 북한 특유의 사회주의 체제 하의 종교임을 분명히 인식해야 하고, 통일 관련 활동을 통해 남북 종교계의 교류를 확대하는 것이 현실적이라는 사실도 주지해야 한다고 본다. 동시에 북한 종교 연구에서도 대결에서 협력으로, 갈등과 분쟁에서 조화와 상생으로, 분단과 정전에서 종전과 평화로 이행되는 남북관계를 고려해야 한다고 본다.
This paper was written with the aim of analyzing and understanding both the existence and status of religion in North Korea after the division of the two Koreas. This paper is also seeking to understand the role religion can play in improving relations between the two Koreas during a time of potential future "peace period." From the division of the two Koreas until the 1970s, North Korean religion was dominated by Socialism’s negative view of religion, along with the extreme anti-religious sentiment stemming from the Korean war. However, since the emergence of North Korea’s self-reliant ideology, Juche, religious facilities have at least partially been restored or rebuilt. As a result of Juche ideology, a small number of religious groups have also resumed activity. North Koreans are generally not interested or ignorant about religion. Some are even hostile towards religion. However, most of the heads of North Korea’s religious groups have served as representatives of the Supreme People’s Assembly of the North, and they have even held relatively high political status. These representatives focus on inter-Korean unification and other activities in the North’s social and state organizations. This means that the status of religion in North Korea cannot be understood solely by statistical figures. It also shows that "pure" religious activities are impossible. Given this, and if future inter-Korean relations can move toward a "peace period," the South Korean religious community should clearly recognize that the religions in North Korea are under North Korea’s unique socialist system. The South Korean religious community also needs to understand that expanding inter-Korean religious exchanges through unification-related activities is realistic. At the same time, I also believe that North Korean religious studies should think deeply about inter-Korean relations, which strive to help move the two Koreas from confrontation to cooperation, from conflict to harmony and co-prosperity, and finally from division and armistice to peace.
Contains:Enthalten in: Chongkyo yŏnku
Persistent identifiers:DOI: 10.21457/kars.2019.08.7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