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three characteristics of the mind in Daejonggyo(大倧敎): Centre on comparison with ‘The theory that innate nature and acquired affection are ruled by a mind and heart(心統性情論)’

대종교에서 말하는 마음의 세 가지 성격이 성명정(性命精) 및 삼진(三眞)/삼망(三妄)/삼도(三途)라는 삼항적 구조를 갖는 것과, 심통성정론(心統性情論)의 마음 이해가 성(性)/심(心)/정(情)의 구도를 갖는 것이 일견 삼원적인 측면을 갖는다는 점에서는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마음을 정신/주체/신체의 구도로써 바라본다는 점은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심통성정론에서의 심(心)은 결국 이기(理氣)론의 이항적 구도 속에서 기(氣)에 속한다는 점에서 스스로 자립적인 지위를 분명하게 갖지 못하고 이로 인하여 주체성의 자유의지적...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Main Author: Lee, Chan-Hee (Author)
Format: Electronic Article
Language:Korean
Check availability: HBZ Gateway
Fernleihe:Fernleihe für die Fachinformationsdienste
Published: Han gog jong gyo hag hoe 2021
In: Chongkyo yŏnku
Year: 2021, Volume: 81, Issue: 1, Pages: 87-120
Further subjects:B Spirituality
B The theory of the mind encompassing nature and feeling(心統性情)
B 천지인(天地人)
B 삼재(三才)
B 생명
B 영성(靈性)
B 마음
B Heaven-earth-human(天地人)
B Mind
B Daejonggyo(大倧敎)
B Life
B Triple-nature-theory(三才)
B 대종교(大倧敎)
B 심통성정(心統性情)
Online Access: Volltext (lizenzpflichtig)
Volltext (lizenzpflichti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