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king the Social Space for the Hansen people and the Religious Hegemony in Sorokdo Island

이 글의 목적은 해방 이후 1980년대까지 소록도 한센인의 삶의 구성에 영향을 준 종교적 헤게모니의 성격을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서 이 글에서는 소록도 한센인과 관련된 문헌 분석과 현지조사 방법을 통해, 소록도 한센인의 삶의 구성에 영향을 준 공간 배치, 한센인의 삶과 공동체 형성에 미친 종교의 영향, 병원당국의 한센인 관리 방식 등을 중심으로 개신교-병원당국-천주교 간의 경합과 협력의 관계 양상을 살펴보고자 했다. 소록도에서 종교는 한센인의 정체성과 공동체 형성의 구심점이었고, 종교를 고려하지 않고서는 그들의 삶의 구성 방식...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Main Author: Park, Sang Un (Author)
Format: Electronic Article
Language:Korean
Check availability: HBZ Gateway
Fernleihe:Fernleihe für die Fachinformationsdienste
Published: Han gog jong gyo hag hoe 2021
In: Chongkyo yŏnku
Year: 2021, Volume: 81, Issue: 1, Pages: 33-62
Further subjects:B 한센인
B Social space
B Protestant Church
B Sorokodo
B Hegemony
B Leprosy
B Religion
B Catholic Church
B 천주교
B 공동체
B 나병
B 헤게모니
B 개신교
B 종교
B 사회적 공간
B Hansen people
B Community
B 소록도
Online Access: Volltext (lizenzpflichtig)
Volltext (lizenzpflichti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