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ative Study on the Water-Fire Theories of Kang Jeungsan (姜甑山) and Wei Boyang (魏伯陽)

이 글은 증산의 사상이 도교의 맥락에서 어떻게 조명될 수 있는지 고찰하려는 목적에서, 그 사례 연구 가운데 하나로 증산의 수화론을 위백양의 수화론과 비교의 시선에서 살핀 것이다. 위백양 수화론은 상극 관계와 그것의 극복을, 증산 수화론은 상생 관계와 그것의 운용을 핵심으로 하면서, 그 관계들을 각자의 우주론 또는 수행론의 근거로 삼고 있다. 이것을 비교 ·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위백양은 수화인 감리(坎離)를 건곤(乾坤)의 용(用)으로 규정함으로써 만물의 변화와 운동을 설명하고자 했고, 증산도 수화를 동적 차원에서 만물의 운...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Main Author: Cha, Seonkeun (Author)
Format: Electronic Article
Language:Korean
Check availability: HBZ Gateway
Fernleihe:Fernleihe für die Fachinformationsdienste
Published: Han gog jong gyo hag hoe 2023
In: Chongkyo yŏnku
Year: 2023, Volume: 83, Issue: 2, Pages: 129-156
Further subjects:B 『전경』#감리(坎離)
B 상극
B mutual beneficence
B 상생
B The Canonical Scripture(典經)
B Kan(坎) and Li(離)
B mutual conflict
B 『주역참동계』
B The Zhouyi cantong qi(周易參同契)
Online Access: Volltext (lizenzpflichtig)
Volltext (lizenzpflichtig)